고전 아르메니아어 명사와 형용사는 현대 아르메니아어보다 격의 수가 더 많음은 물론이고, 복수형을 만드는 방식도 따로 있다. 그러나 기본적으로 어간의 변형 패턴(강변화)만 알고 있으면 해당하는 격표지를 붙여 원하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. 어간 변형이 없는 곡용 방식(약변화)은 크게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와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 대해 나뉜다.
약변화 명사
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복수 속격 표지의 모음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곡용한다.
a-유형: am '해/년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ամ am |
ամք am-kh |
대격 | ամս am-ës |
|
처격 | ամի am-i |
|
여/속격 | ամաց am-ats |
|
탈격 | ամէ am-ey |
|
구격 | ամաւ am-aw |
ամաւք am-aw-kh |
i-유형: ban '말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բան ban |
բանք ban-kh |
대격 | բանս ban-ës |
|
처격 | բանի ban-i |
|
여/속격 | բանից ban-its |
|
탈격 | բանէ ban-ey |
|
구격 | բանիւ ban-iw |
բանիւք ban-iw-kh |
u-유형: tzow '바다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ծով tzow |
ծովք tzow-kh |
대격 | ծովս tzow-ës |
|
처격 | ծովու tzow-u |
|
여/속격 | ծովուց tzow-uts |
|
탈격 | ծովէ tzow-ey |
|
구격 | ծովու tzow-u |
ծովուք tzow-u-kh |
o-유형: beran '입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բերան beran |
բերանք beran-kh |
대격 | բերանս beran-ës |
|
처격 | ||
여/속격 | բերանոյ beran-oy |
բերանոց beran-ots |
탈격 | ||
구격 | բերանով beran-ow |
բերանովք beran-ow-kh |
-eay로 끝나는 명사는 i-유형으로 곡용한다.
i-유형: hëre(ay) '유대인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հրեայ hëreay |
հրեայք hëreay-kh |
대격 | հրեայս hëreay-s |
|
처격 | հրեի hëre-yi |
|
여/속격 | հրեից hëre-yits |
|
탈격 | հրեէ hëre-yey |
|
구격 | հրեիւ hëre-yiw |
հրեիւք hëre-yiw-kh |
일부 u-유형 명사는 탈격 표지가 -uey이다. 일부 o-유형 명사는 단수형에서 대격과 구별되는 처격 표지 -i를 갖는다.
o/i-유형 | 단수 대격 | 단수 탈격 | 단수 처격 |
전치사 i + meyj '가운데, 안' | ի մէջ i meyj '안으로' |
ի միջոյ i mij-oy '안에서(부터)' |
ի միջի/մէջ i mij-i / meyj '안에(서)' |
a-유형 고유명사는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.
a-유형 고유명사 (단수) | 주/대격 | 여/속/처/탈격 | 구격 |
Tigran '띠그란' |
Տիգրան Tigran |
Տիգրանայ Tigran-ay |
Տիգրանաւ Tigran-aw |
명사가 모음 -i로 끝나는 경우 wo-유형 또는 ea-유형으로 곡용하는데, 자음으로 끝나는 o-유형과 약간 다르다.
wo-유형: hog(i) '영혼, 정신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հոգի hogi |
հոգիք hogi-kh |
대격 | հոգիս hogi-s |
|
처격 | հոգւոy hog-woy |
|
여/속격 | հոգւոց hog-wots |
|
탈격 | ||
구격 | հոգւով hog-wow |
հոգւովք hog-wow-kh |
ea-유형: teł(i) '장소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տեղի tełi |
տեղիք tełi-kh |
대격 | տեղիս tełi-s |
|
처격 | տեղւոջ teł-woj |
|
여/속격 | տեղւոյ teł-woy |
տեղեաց teł-eats |
탈격 | տեղւոյ / տեղւոջէ teł-woy / teł-woj-ey |
|
구격 | տեղեաւ teł-eaw |
տեղեաւք teł-eaw-kh |
-ացի -atsi로 파생된 형용사/명사는 지명에서 파생된 경우 wo-유형, 아닌 경우 ea-유형으로 곡용한다.
강변화 명사
모음 약화를 제외하고 봤을 때 어간의 교체형은 2~4개가 있을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 수와 격에 맞춰 다음과 같은 표지가 붙는다.
단수 탈격 | 단수 구격 | 복수 주격 | 복수 대/처격 | 복수 여/속/탈격 | 복수 구격 |
-է -ey |
-բ -b (<-w) |
-ք -kh |
-ս -ës |
-(ա)ց -(a)ts |
-բք/աւք -b-kh / -aw-kh |
r이나 ł로 끝나는 어간 뒤에는 주로 모음 a가 들어간 형태가 붙는다. n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-b가 붙으면 그 n이 m으로 바뀐다.
어간 변형 패턴은 크게 어간이 어떤 자음으로 끝나는지에 따라 나뉘고, 그 안에서도 세부적인 양상이 갈린다.
어간 | 단수 주/대격 | 복수 주/대/처격 | 단수 여/속/처(/탈)격 | 나머지 |
r-유형: '뼈' | ոսկր oskër |
ոսկեր osker- |
||
ewr-유형: '샘' | աղբեւր ałbewr |
աղբեր ałber- |
||
ł-유형: '별' | աստղ astëł |
աստեղ asteł- |
||
단음절 un-유형: '집' | տուն tun- |
տան tan- |
||
다음절 un-유형: '이름' | անուն anun |
անուան anuan- |
||
iwn-유형: '피' | արիւն ariwn- |
արե(ա)ն arean- (단수 탈격 aren-ey) |
||
awn-유형: | պաշտաւն pashtawn |
պաշտաման pashtaman- |
||
n-1유형: '옆/쪽' | կողմն kołmën |
կողման kołman- |
||
n-2유형: '문' | դուռն durrën |
դրուն dërun- |
դրան dëran- |
|
잠복 n-2유형: '처녀' | աղջիկ ałjik |
աղջկուն ałjëkun- |
աղջկան ałjëkan- |
|
n-3유형: '새끼양' | գառն garrën |
գառին garrin- |
գառան garran- |
|
n-4유형: '신부' | հարսն harsën |
հարսուն harsun- |
հարսին harsin- |
հարսան harsan- |
r로 끝나는 대부분의 명사는 r-유형(또는 ewr-유형)에 속하고, ł로 끝나는 모든 명사는 ł-유형에 속한다. -ումն -umën으로 파생된 동작 명사는 n-2유형, -ութիւն -uthiwn으로 파생된 성상 명사는 iwn-유형에 각각 속한다. 그러나 -իւն -iwn으로 파생된 소리 명사는 곡용할 때 -umën 파생형으로 대체된다.
고전어에서 들어온 դբւստր dustër 등의 단어는 현대어에서도 간혹 원래의 강변화 곡용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. (단수 속격 դստեր dëster)
혼합변화 명사
단수형에서 u-유형으로 곡용하는 일부 명사 및 모든 형용사는 주/대격에서만 어말 -r가 나타난다. 이러한 명사들은 보통 단수형만 존재하지만, 형용사의 복수형에서는 -r 대신 -un이 붙은 새로운 어간이 나타난다.
u/n-유형: phokh(r~un) '작은/적은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փոքր phokhr |
փոքունք phokhun-kh |
대격 | փոքունս phokhun-ës |
|
처격 | փոքու phokh-u |
|
구격 | փոքումբ phokhum-b-kh |
|
여/속격 | փոքունց phokhun-ts |
|
탈격 | փոքուէ phokh-uey |
복수형에서 이 -un형 어간이 -an형 어간과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.
u/n-2유형: bardzër '높은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բարձր bardzër |
բարձունք bardzun-kh |
대격 | բարձունս bardzun-ës |
|
처격 | բարձու bardz-u |
|
구격 | բարձամբք bardzam-b-kh |
|
여/속격 | բարձանց bardzan-ts |
|
탈격 | բարձուէ bardz-uey |
비슷하게 단수형에서는 약변화하고 복수형에서는 n-유형 강변화하는 명사들이 있다.
약/강 혼합 | i/n-3유형: khar '돌' | u/n-2유형: ereyts '장로, 사제' |
단수 주/대격 | քար khar |
երէց ereyts |
단수 여/속/처격 | քարի khar-i |
երիցու erits-u |
단수 구격 | քարիւ khar-iw |
|
단수 탈격 | քարէ khar-ey |
երիցուէ erits-uey |
복수 주격 | քարինք kharin-kh |
երիցունք eritsun-kh |
복수 대/처격 | քարինս kharin-ës |
երիցունս eritsun-ës |
복수 여/속/탈격 | քարանց kharan-ts |
երիցանց eritsan-ts |
복수 구격 | քարամբք / քարիւք kharam-b-kh / khar-iw-kh |
երիցամբք eritsam-b-kh |
반대로 단수형에서는 n-유형 강변화하고 복수형에서는 약변화하는 명사들이 있다.
강/약 혼합 | n/a-3유형: dzerrën '손' | n/i-3유형: otën '발' | 잠복 iwn/o-유형: tzënund '출생' |
단수 주/대격 | ձեռն dzerrën |
ոտն otën |
ծնունդ tzënund |
단수 여/속/처격 | ձեռին dzerrin |
ոտին otin |
ծննդեան tzënëndean |
단수 탈격 | ձեռանէ dzerran-ey |
ոտանէ otan-ey |
ծննդենէ tzënënden-ey |
단수 구격 | ձեռամբ dzerram-b |
ոտամբ otam-b |
ծննդեամբ tzënëndeam-b |
복수 주격 | ձեռք dzerr-kh |
ոտք ot-kh |
ծնունդք tzënund-kh |
복수 대/처격 | ձեռս dzerr-ës |
ոտս ot-ës |
ծնունս tzënund-ës |
복수 여/속/탈격 | ձեռաց dzerr-ats |
ոտից ot-its |
ծննդոց tzënënd-ots |
복수 구격 | ձեռաւք dzerr-aw-kh |
ոտիւք ot-iw-kh |
ծննդովք tzënënd-ow-kh |
마지막 유형에는 -ունդ -und 및 -ուրդ -urd로 파생된 대부분의 명사들이 속한다.
불규칙 명사
արտաւսր artawsër '눈물'과 ծունր tzunr '무릎'은 복수형인 արտասուք artasu-kh와 ծունգք tzung-ëkh을 통해서만 곡용 가능하다. 한편 계절명 գարուն garun '봄', ամառն amarrën '여름', աշուն ashun '가을', ձմեռն dzëmerrën '겨울'은 보통 o-유형 형용사 파생형인 գարնային garnayin, ամարային amarayin, աշնային ashnayin, ձմերային dzëmerayin을 통해 곡용한다. 원래 어간을 유지한다면 '여름'과 '겨울'은 일반적인 n-2유형, '봄'과 '가을'은 잠복 un-유형으로 곡용한다. (garun ~ garnan ~ garun-kh ~ garnan-ts)
ակն akën '눈, 샘, 보석'은 단수형에서 n-유형으로 곡용한다(여/속/처격 ական akan). 복수형의 의미가 '샘'일 때는 n-2유형, '보석'일 때는 o-유형처럼 각각 곡용한다. '눈'을 의미하는 복수형은 ոչք och-kh이고 a-유형으로 곡용한다. 비슷하게 ունկն unkën '귀, 손잡이'의 단수형은 n-유형(여/속/처격 ունկան unkan), '손잡이'의 복수형은 n-2유형으로 곡용하나, '귀'의 복수형은 a-유형의 ականջք akanj-kh이다.
մահ mah '죽음'은 u-유형 약변화 명사이지만, 다음과 같이 n-유형 강변화하기도 한다.
n-불규칙: mah '죽음' | 단수 | 복수 |
주격 | մահ mah |
մահունք mahun-kh |
대격 | մահունս mahun-ës |
|
처격 | մահուան mahuan |
|
여/속격 | մահուանց mahuan-ts |
|
탈격 | մահուանէ mahuan-ey |
|
구격 | մահուամբ mahuam-b |
մահուամբք mahuam-b-kh |
r로 끝나는 불규칙 명사들은 다음과 같이 곡용한다. հայր hayr '아버지', մայր mayr '어머니', եղբայր ełbayr '형제'는 동일하게 곡용한다. տէր teyr '주(인), 군주, 경'은 ayr처럼 곡용한다. (teyr ~ tearrën ~ tear-kh ~ teran-ts)
r-불규칙 | mayr '어머니' | khoyr '자매' | awr '날' | ayr '남자' |
단수 주/대격 | մայր mayr |
քոյր khoyr |
աւր awr |
այր ayr |
단수 여/속/처격 | մաւր mawr |
քեռ kherr |
աւուր awur |
առն arrën |
단수 탈격 | մաւրէ mawr-ey |
քեռէ kherr-ey |
աւրէ awr-ey |
առնէ arrn-ey |
단수 구격 | մարբ mar-b |
քերբ kher-b |
աւուրբ awur-b |
արամբ aram-b |
복수 주격 | մարք mar-kh |
քերք kher-kh |
աւուրք awur-kh |
արք ar-kh |
복수 대/처격 | մարս mar-ës |
քորս khor-ës |
աւուրս awur-ës |
արս ar-ës |
복수 여/속/탈격 | մարց mar-ts |
քերց kher-ts |
աւուրց awur-ts |
արանց aran-ts |
복수 구격 | մարբք mar-b-kh |
քերբք kher-b-kh |
աւուրբք awur-b-kh |
արամբք aram-b-kh |
다른 불규칙 명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. տիկին tikin '여주(인)'은 kin처럼 곡용한다. (tikin ~ tiknoj ~ tiknay-kh ~ tiknan-ts)
기타 불규칙 | nu '며느리' | gewł '마을' | tiw '낮' | kin '여자' |
단수 주/대격 | նու nu |
գեւղ gewł |
տիւ tiw |
կին kin |
단수 여/속/처격 | նուոյ nu-oy |
գեղջ gełj |
տուընջեան tuënjean |
կնոջ kënoj |
단수 탈격 | գեղջէ gełj-ey |
տուընջենէ tu(ënjen)-ey |
կնոջէ kënoj-ey |
|
단수 구격 | նուով / նուաւ nu-ow/aw |
գիւղիւ giwł-iw |
տուընջեամբ tuënjeam-b |
կանամբ / կնաւ kanam-b / kën-aw |
복수 주격 | նու(ան)ք nu(an)-kh |
գեւղք gewł-kh |
տիւք tiw-kh |
կանայք kanay-kh |
복수 대/처격 | նու(ան)ս nuan-ës / nu-s |
գեւղս gewł-ës |
տիւս tiw-ës |
կանայս kanay-s |
복수 여/속/탈격 | նուա(ն)ց nuan-ts / nu-ats |
գիւղից giwł-its |
- | կանանց kanan-ts |
복수 구격 | նուաւք nu-aw-kh |
գիւղիւք giwł-iw-kh |
- | կանամբք kanam-b-kh |
'學 > 아르메니아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대 아르메니아어 명사의 곡용 패턴 (0) | 2021.08.21 |
---|